보건증 발급 방법
오늘 포스팅은 보건증에 대한 총 정리다. 보건증 발급방법부터 보건증 발급비용과 기간까지 알아보자. 물론, 보건증 인터넷 발급방법도 내용에 포함하였다.
▼ 참고하실 글
보건증 인터넷 발급방법 바로가기
보건증 인터넷 발급방법 오늘 포스팅은 보건증 인터넷 발급방법에 대해 준비했습니다. 보건증 발급방법하면 대부분 보건소에 직접 방문해야 하는 것으로 알고계신데요. 하지만, 보건증도 인터
findholidays.rich-tips.shop
건강검진 지정병원 조회 방법
건강검진 지정병원 조회방법 국가 건강검진은 모든 국민이 2년에 1번씩 받는다. 본인의 건강검진 연도가 되면 거주지 주소로 건강검진표를 받을 수 있다. 하지만, 직장생활을 하거나 바쁘게 지
findholidays.rich-tips.shop
1. 보건증 발급 장소
보건증의 정식 명칭을 알고 있는가? 보건증은 원래 '건강진단결과서'가 진짜 이름이다. 보건증 신청과 보건증발급 장소는 모두 전국의 보건소다. 전국의 보건소에서는 보건증 발급이 가능하다. 보건소에서하는 보건증 발급의 경우 주민등록상 거주지에 관계없이 보건증발급이 가능하다. 단, 보건지소는 보건소와 다르므로, 발급이 안된다. 보건증 발급을 위해서는 전국의 보건소를 방문하면 된다.
2. 보건증 발급방법 - 보건소 직접 방문
그 다음은 보건증 발급방법에 대하여 알아보자. 먼저, 보건증 발급 준비물은 무엇일까?
간단하다. 보건증 발급 준비물은 신분증과 보건증 발급 비용이다. 신분증은 보건증 발급을 위해서 필수로 챙겨야 한다. 보건증 발급비용은 1,500원 정도다.(인터넷 발급의 경우 보건증 발급비용은 무료다. 인터넷 보건증 발급방법은 아래에 소개해 두었다.) 보건증 발급비용은 보건증 발급 당일에 계산을 하기 때문에 꼭 챙겨가도록 하자.
보건증 발급 준비물은 이제 됬다. 그럼, 보건증 발급순서는 어떻게 될까? 보건소에 방문했다면, 보건증 접수 창구에 가면 된다. 보건소 접수 창구 주변에는 보건증 신청서가 있다. 신청서를 수기로 작성하면 간편하게 보건증 발급이 가능하다.
보건증의 경우 새로이 근무를 하기 전에 발급하는 경우가 일반적이다. 그래서 보건증 발급 신청서에는 새 근무지에 대한 정보, 개인정보 등을 기입하고 제출하면 된다.
보건증 발급 신청서를 제출하면 보건소 담당자의 안내를 받아 검사실로 이동하면 된다. 보건증 발급을 위한 검사는 다음과 같다.
1. 결핵검사 - 흉부 사진을 찍는 검사이며, 상의 중 겉옷을 벗고 검사복으로 갈아입어야 하니 편한 복장을 입고 보건소를 방문할 것을 추천한다.
2. 항문 검사 - 기다란 면봉이 들어있는 긴 통을 전달해준다. 이 도구를 사용해서 화장실에서 항문에 집어넣는 검사를 한다. (이 검사가 두려워 보건증 발급을 꺼리는 사람이 있다. 하지만, 생각보다 간편하다. 걱정 ㄴㄴ 필자도.... 해냈...다.) 사용한 면봉은 사람에게 제출하지 않고, 놓는 곳에 두면 된다.
보건증 발급방법을 위한 검사는 위에 두 가지가 전부다. 사람이 많지 않은 경우에는 20분 내외로 두 검사를 모두 마칠 수 있으니 간편하다.
기입해야 하는 사업체 정보는 음식점 또는 유흥업 이렇게 대략적으로 분류되어있다. 사업처의 명은 기입할 필요가 없다. 보건증 접수 창구에서 보건증 발급비용을 제출하면, 당일 날짜가 적힌 보건증을 받을 수 있다. 보건증 발급에 소요되는 기간은 신청일로부터 약 4일에서 5일 정도 소요된다. 단, 토요일과 공휴일은 제외한 기간이다.
당일 보건소에서 받은 종이를 가지고, 4~5일 후에 보건소를 찾아가면 보건증을 받을 수 있다. 자, 여기까지는 보건증 발급방법 중 직접 보건소에 찾아가는 방법이었다.
그러나, 요즘은 보건소를 직접 찾아가는 것 보다 인터넷으로 보건증을 발급받는 법이 더욱 일반적이다. 게다가 인터넷으로 보건증을 발급받으면 비용도 무료이다. 지금부터 인터넷 보건증 발급방법에 대하여 소개한다.
(광고)
3. 보건증 발급 방법 - 인터넷 보건증 발급
보건증은 인터넷으로 무료로 발급받을 수 있다. 단, 집에 프린터기는 있어야 보건증을 출력할 수 있다. 그럼 시작해보자. 먼저, 검색창에 '보건증 인터넷 발급'을 검색하면 아래와 같은 링크를 볼 수 있다. 링크에서 아래와 같은 순서로 들어가면 간편하게 인터넷 보건증 발급을 할 수 있다.
보건증 발급 절차는 위 그림과 같다.
1. 제증명발급
-> 온라인 민원서비스
-> G-health 공공보건포털'
<아래 링크 바로가기↓>
http://www.g-health.kr/pagefolws/certi/CertiInf.do?cNo=200435&pGubun=Y&menuNo=200435
제증명발급 > 제증명발급 > 온라인 민원서비스 > G-health 공공보건포털
온라인 민원서비스ONLINE DOCUMENT 로컬 메뉴 시작 이용자가이드 온라인민원 보건기관찾기 제증명발급 통합검사결과 조회 내원이력조회 처방조회 문서원본확인 FAQ 콘텐츠 시작 제증명발급 온라인
www.g-health.kr
02. 온라인 민원서비스 페이지에 들어왔다면, 페이지를 아래로 스크롤한다. 그러면 제증명발급 항목을 확인할 수 있다. 해당 홈페이지에서는 보건서비스를 제공하므로, 제증명이 곧 보건증 발급을 의미한다.
03. 보건증발급에 동의를 선택한다. 그다음은 간단히 정보를 입력하면 된다. 이름, 보건기관, 주민등록번호 등이 해당된다. 보건기관은 옆의 보건기관찾기를 눌러 검색하면, 주변의 보건소를 조회해볼 수 있다.
04. 그 다음은 보건증 신청 및 발급 내역에 들어가 건강진단결과서 1건을 클릭한다. 건강진단결과서는 우리가 흔히 부르는 보건증이다.
05. '보건증 발급 시 받았던 접수번호를 클릭한다.
06. 마지막은 보건증 발급 용도를 입력한 후 신청하기를 클릭한다. 보건증 발급을 아르바이트나 회사에 제출하는 용도라면 '제출용'이라고 입력하면 된다.
07. 보건증 발급받기를 클릭하자! 거의 다 왔다.
08. 마지막은 인쇄다. 보건증 발급을 클릭했다면, 마지막으로 인쇄만 하면 보건증 발급을 받을 수 있다. 보건증 발급방법은 이처럼 매우 간단한다.
오늘 포스팅은 보건증 발급방법에 대하여 알아보았다. 보건증은 여러 목적으로 발급받을 일이 있을 것이다. 이처럼 간편하게 보건증을 발급받는 방법을 알아둔다면 꿀팁이 될 것이다.
'꿀팁 > 최신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로또 당첨금 수령하는 방법 꼭 확인하세요 (0) | 2020.10.24 |
---|---|
자궁경부암 예방접종 방법 및 비용 (0) | 2020.10.23 |
연말정산 부양가족 등록방법 꼭 보세요 (0) | 2020.10.21 |
종부세 계산기 사용방법 꼭 보세요 (0) | 2020.10.20 |
연말정산 환급금 조회 방법 꼭 보세요 (0) | 2020.10.19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