몸캠피싱과 함께 보이스피싱 사례가 급증하면서 그에 대한 경각심이 높아지고 있습니다. 최근 언택스 정부 문자가 많아지면서 다시 보이스피싱으로 악용하는 사람들이 많아지고 있다고 합니다. 보이스피싱을 예방하는 가장 좋은 방법은 어떤 사례가 있는지 미리 파악하는 것인데요. 오늘 포스팅에서는 최근 가장 빈번하게 이루어지는 보이스피싱 사례와 신고방법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목차

1. 보이스 피싱 사례

    - 문자 보이스피싱
    - 전화 보이스피싱

2. 보이스피싱 신고 방법

3. 피해 환급금 신청 방법

 

문자 보이스피싱 사례)

요즘은 매일 정부 재난문자를 받아보는데요. 아래와 같이 정부 문자를 도용하여 보이스피싱으로 악용하는 사례입니다. 정부 재난문자와 달리 의심문자에는 수상한 링크가 첨부된 경우가 많다고 하니 주의하셔야 합니다.

출처 : 경찰청

 

전화 보이스피싱 사례)

질병관리 본부(1339번), 건강보험심사평가원(1644-2000번) 등에서 방역 관련 전화를 받을 수 있습니다. 전화 보이스피싱은 이를 악용 및 도용하여 금전요구 및 웹 설치를 요구한다고 하니, 관련 내용이 들리시면 바로 전화를 끊으셔야 합니다.

출처 : 금융감독원

 

매일 보는 코로나 및 방역관련 문자/전화다보니, 아무런 의심없이 받아버릴 수 있습니다. 예방을 위해서는 미리 보이스 피싱 사례를 알아두시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합니다. 힘든 시국에 보이스피싱이 늘어난 것이 씁슬하지만, 예방하는 것 외에 왕도가 없는 것 같습니다.

 

이외에도 다른 보이스 피싱 사례도 많습니다. '고액 알바', P2P 가상계좌 활용' 등 그 범위가 넓고 다양해서 하나하나 알아두기 어려울 정도입니다. 그래서 요즘은 '휴대폰 피싱 보호 인증' 서비스도 있습니다. 보이스피싱이 아무래도 휴대전화로 가장 많은 피해가 있다보니, 휴대전화에 보이스 피싱 위험을 감지해 실시간으로 알려주는 서비스라고 합니다.

 

 

요즘같은 시국에 휴대폰 피싱보호 인증 서비스를 이용하는 사람도 늘고 있다고 하니, 금융사기정보 예방 차원에서 당분간 사용하는 것도 좋은 방법이라고 많은 사람들이 입을 모으고 있습니다.

그렇다면 방대한 보이스피싱을 당한 경우 신고는 어떻게 하면 될까요?

 

보이스 피싱 신고방법

보이스피싱을 당한 분이라면 아래와 같이 지급정지 및 피해신고, 피싱 사이트 신고, 피해상담 및 환급에 대한 정보도 모두 문의를 할 수 있습니다. 

<출처 : 금융감독원>


또한 금융감독원에서는 '보이스피싱 지킴이' 라는 페이지를 만들어 보이스 피싱 예방관련 여러 서비스를 제공하고있다고 하니, 참고해보셔도 좋을 것 같습니다. 아래 사이트 링크를 바로 남겨두었으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phishing-keeper.fss.or.kr/fss/vstop/main.jsp

보이스 피싱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나도' 언제든지 대상자가 될 수 있음을 주의하는 태도가 중요합니다. 혹시라도 피해를 입은 분이 계시다면 신고 및 피해 환급금 받는 방법에 대한 내용을 '금융감독원'에 연락하셔서 상담을 받아보시는 것도 추천 드립니다.

 

 

날이 갈수록 보이스 피싱 수법이 교묘해지고 있습니다. 미리 알고 준비하는 것만이 더 큰 피해를 줄일 수 있습니다. 보이스 피싱을 미리 인지하고 철저히 대비하도록 합시다. 더이상 보이스 피싱 사례가 나오지 않는 그날까지 힘 내시길 바랍니다.

 

댓글